이북에 남겨진 가족들과 할머니 생각에 엄마는 남몰래 많이 우셨습니다.  신앙심이 돈독하셨던 할머니께서 공산치하에서 얼마나 힘드셨겠느냐며 언제나 골방에서 기도하셨습니다.엄마의 큰 언니와 남동생만 월남하셨는데 큰 이모나 막내 외삼촌은 당신들의 환갑을 맞으시기 전 두 분 다 돌아가시고 엄마만 홀로 남게 되셨습니다.  그나마 외삼촌이 돌아가실 때에는 엄마가 미국에 계셨기 때문에 가보시지도 못했습니다.워낙 어릴 때부터 서울에서 공부하시고 산부인과 병원에서 일을 하셨기 때문에 홀로서기를 하셨고, 의지할 혈육이 한 사람도 없으셨던 엄마는 일찌기 인내가 무엇인지 배우셨던 것 같습니다.

나는 오랫동안 엄마의 입에서 남의 험담하시는 것을 본 적도 없고, 아무리 힘들더라도 불평하시는 것을 한 번도 들은 적이 없습니다.  그저 그 무섭던 전쟁통에도 살아있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하다는 말 뿐이셨습니다.

엄 마의 인생은 말 그대로 전쟁과 환난, 외로움과 고독함, 절망과 좌절의 연속이었지만 항상 하나님을 의지하셨고 비록 넘어졌을지라도 뒤를 돌아보며 남의 탓하지 않으시고 오로지 달려가야 할 길을 바라보고 의연히 털고 일어서시는 분이셨습니다.

음력으로 1923년 1월 29일에 태어나신 엄마는 환갑 때 양력으로 3월 1일이었기에 그 날을 생신으로 정했습니다.  바로 오늘이 그 날이니 엄마의 88세가 되신 날입니다.

예 수님의 생일이라면 몰라도 내 생일이 뭐 그리 대단하다고 크게 잔치를 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그저 밥 한 그릇이면 족한데 잔치한다고 큰 돈을 써가며 하지 말고 그럴 돈이 있으면 선교비로 보내달라고 간청하셔서 별로 큰 잔치를 베풀어드린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각 사람들의 생김새가 다르 듯 각 사람들의 생각도 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 의견을 존중해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하여 엄마의 의견을 따르고 있지만 그래도 미안하고 섭섭한 마음이 한 구석에 있습니다.

올해는 지난 토요일 둘째 딸 집에 모여 조촐한 음식을 나누며 딸들이 준비한 선물과 카드를 받으시고 아주 기뻐하셨습니다.  막내 아들은 덴버에 있어서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끼니걱정 없이 살 수 있다는 것만도 감사한데 북한이나 아프리카처럼 가난한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은 먹을 것도 없어 굶지 죽지 않느냐며 우리가 아낄 수 있는 한 최대한 아껴서 그들과 나누어야 한다며 돈을 내놓으셨습니다.

“내가 이제 살면 얼마나 살겠니.  곧 얼마 있으면 하나님 앞에 설텐데 이 세상 떠나기 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 하나님의 사랑을 전해야하지 않겠니.” 하시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뭉클해진 마음으로 혼자 중얼거렸습니다.  “엄마, 사랑하는 나의 엄마, 오래 사세요.”

2011/03/01
윤명희

456 total views, 1 view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