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감사절 주간에 무려 1억8760만달러라는 거액의 기부금 소식이 전해졌다. 그것도 엄청난 자산가임에도 자신의 부를 티내지 않고 평생 검소한 생활을 하다가 이 생과 이별하면서 내놓은 유산이라 소식을 접한 사람들의 마음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주인공은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변호사로 살아온 잭 맥도널드(사진)다. 29일 시애틀타임스에 따르면, 맥도널드는 지난 9월 98세로 세상을 떠나면서 1억8760만달러를 시애틀 어린이병원에 40%, 워싱턴대학 로스쿨에 30%, 구세군에 30%씩 남겼다. 그리고 기부금을 받은 세 기관이 추수감사절을 맞아 기부자의 이름을 공개했다.
이 금액은 올해 워싱턴주에서 있었던 자선기부금으로는 최대 규모이고 미국 전체로는 6번째로 큰 액수다.
더군다나 이 돈을 기부한 맥도널드는 살아서 워낙 검소한 생활태도로 구두쇠 소리를 들었으며 가족과 아주 가까운 지인들 빼고는 그가 그렇게 부자인줄도 몰랐다고 한다. 신문에 따르면, 맥도널드는 돈을 아끼기 위해 쿠폰을 오려 모으고 세일하는 곳을 찾아다녔으며 노인용 버스 패스를 이용했다. 옷은 닳아서 구멍이 날 때까지 입었다.
맥도널드와 30년간 친구로 지낸 시애틀 어린이병원의 더그 피차 회장은 “그는 수줍음이 많았지만 겸손하고 젠틀한 거인이었다”면서 “그가 자선기부를 하게 된 것은 부모의 영향이 크다”고 전했다.
그의 어머니는 어린이병원을 위해 오랫동안 기부금 모금활동을 벌였고 육류포장사업을 하던 아버지는 노동자들과 어울리며 지내는 좋은 고용주였다는 것. 어린이병원과 구세군은 그런 인연으로 선택됐고 워싱턴대 로스쿨은 그가 졸업한 대학이다.
맥도널드의 의붓딸 레젠 데니스는 “아버지는 할아버지가 유산으로 물려준 돈을 주식에 투자해 크게 불렸다”면서 “친자식이 없었지만 50넘어 엄마와 결혼하면서 아이들을 정말 좋아하게 됐다”고 전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