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잘 키우는 법’ 책 쏟아져
지식 정보화 시대의 남녀
남성적 근육의 힘보다 자기조절·공감 능력 중요
이런 특성 발달 느린 男兒 학교에서 상대적 불리
男兒들, 엄마 말 흘려듣는다?
안 듣는 것이 아니라 못 알아 듣는 것
말하려는 핵심만 짚어 짧게 이야기해줘야
아들 대하는 엄마들 태도 변화
전통적인 남성상 아닌 자신의 ‘이상형’을 投射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남자로 키우고 싶어해
‘남자아이 심리백과'(살림), ‘큰소리 내지 않고 우아하게 아들 키우기'(노란우산), ‘엄마는 아들을 너무 모른다'(예담), ‘엄마를 미치게 하는 남자아이 키우는 법'(생각의 날개), ‘아들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60′(책비), ‘아들은 원래 그렇게 태어났다'(카시오페아), ‘아들은 엄마의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아름다운 사람들), ‘소년의 심리학'(위고), ‘아들이 사는 세상'(중앙 m&b)….
최근 몇 년 새 국내 서점가에 쏟아진 ‘아들 키우는 법’ 안내서다. 이 책들의 공통된 주장은 “여성인 엄마가 아들을 제대로 양육하려면 남자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는 것. 이 같은 ‘아들 양육서’ 붐은 아들 키우는 엄마들의 고민이 그만큼 크다는 걸 방증한다. 지난 1월 중국인 저자가 쓴 ‘엄마는 아들을 너무 모른다’를 펴낸 위즈덤하우스 최유연 팀장은 “책 출간 전 자녀 성별을 기준으로 시장조사를 했더니 미취학 아동 육아서 수요의 80% 이상이 아들 엄마였다”고 했다. 엄마들이 딸보다는 아들 키우는 걸 훨씬 더 어려워해 ‘아들 공부’의 필요성을 느낀다는 것이다.
‘아들 양육’ 분야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인 일본 책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21세기북스)은 2007년 출간된 이후 지금까지 30만부가량 팔렸다. 21세기북스 관계자는 “이 책과 세트로 딸 키우는 법 책도 출간했지만 독자들이 딸 육아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최근 몇 년 새 국내 서점가에 쏟아진 ‘아들 키우는 법’ 안내서다. 이 책들의 공통된 주장은 “여성인 엄마가 아들을 제대로 양육하려면 남자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는 것. 이 같은 ‘아들 양육서’ 붐은 아들 키우는 엄마들의 고민이 그만큼 크다는 걸 방증한다. 지난 1월 중국인 저자가 쓴 ‘엄마는 아들을 너무 모른다’를 펴낸 위즈덤하우스 최유연 팀장은 “책 출간 전 자녀 성별을 기준으로 시장조사를 했더니 미취학 아동 육아서 수요의 80% 이상이 아들 엄마였다”고 했다. 엄마들이 딸보다는 아들 키우는 걸 훨씬 더 어려워해 ‘아들 공부’의 필요성을 느낀다는 것이다.
‘아들 양육’ 분야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인 일본 책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21세기북스)은 2007년 출간된 이후 지금까지 30만부가량 팔렸다. 21세기북스 관계자는 “이 책과 세트로 딸 키우는 법 책도 출간했지만 독자들이 딸 육아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엄마들 ‘아들 공부’에 나서다
왜 갑자기 엄마들이 아들 키우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알파걸 시대의 도래’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선 더 이상 근육의 힘이 경쟁력이 아니다. 공감 능력, 자기 조절 능력, 주의 집중력 같은 특성이 더 중요하다. 교육 전문가들은 남자아이들이 여자아이에 비해 이런 특성의 발달이 느리기 때문에 학교 안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특히 유치원과 초·중학교 때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키우는 이지은(42·주부)씨는 “학교에서 남자아이들은 산만하고 야무지지 못해 항상 야단만 맞는다. 아들 엄마들은 ‘우리 애가 왜 여자애에 비해 뒤떨어지나’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근무한 여교사 김모(34)씨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적이 뛰어나다기보다는 학습 태도가 좋다. 수업에 집중을 잘하고 돌발 행동을 안 하기 때문에 교사 입장에서 대하기가 수월하다”고 했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등 발달 장애 비율이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아들 키우기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킨다. 미국 아동심리학자 댄 킨들런은 저서 ‘알파걸’에서 “자폐증 진단을 받는 남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의 4배나 되고 ADHD나 난독증에 걸릴 위험도 여자아이들보다 2~5배나 높다”고 했다. 미국 아동발달심리전문가 마이클 거리언은 ‘소년의 심리학’에 “여자아이 100명이 학습 장애 진단을 받을 때 남자아이는 276명이 학습 장애 진단을 받는다”고 썼다.
엄마 말을 건성으로 듣고,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좀처럼 이야기하지 않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도 아들 엄마를 애타게 한다. 한 학부모는 “새 학년 초 아들 엄마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반에서 가장 똑똑한 여자아이 엄마와 친구가 되는 거다. 여자아이들은 시시콜콜 엄마에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여자아이 엄마를 통해야만 아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왜 아들은 엄마의 말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걸까? 전문가들은 “남성과 여성의 화법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아들에게 소리치는 엄마 딸에게 쩔쩔매는 아빠'(덴스토리)를 쓴 정윤경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는 “엄마 말을 안 듣는 게 아니라 무슨 말을 하는지 못 알아듣는 거다. 남자아이는 길어지는 말 속에서 전후 관계를 따져 핵심을 찾아 처리하는 능력이 여자아이보다 떨어진다. 아들과 대화할 때엔 한 번에 한 가지만, 핵심만 짚어서 짧게 이야기해줘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아들 엄마들의 고민이 깊어지다 보니 남자아이들의 취약점을 공략한 ‘맞춤형 사교육’도 등장했다. 대표적인 것이 남자아이들만을 위한 미술학원. 일산에 본점을 둔 ‘자라다 남아미술연구소’는 6~13세 남자아이만 수강생으로 받는다. 교사도 모두 남성인 이 학원은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톱질·못질 등을 주로 가르치고, 꽃이나 사람보다는 자동차를 그린다. 이 학원 최민준 대표는 “일반 미술학원에서 남자아이들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다. 아동 미술의 주요 지표인 색칠 하기와 사람 그리기가 모두 여자아이가 관심을 갖는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상적인 남편감으로 아들 키우고파”
아들을 대하는 엄마들의 태도 변화도 ‘아들 교육’이 이슈로 떠오른 요인 중 하나다. 요즘 엄마들은 전통적인 남성상이 아닌 자신의 ‘이상형’을 아들에게 투사해 적극적으로 교육시킨다. 자기 중심적이지 않고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남자로 키우고 싶어 하는 것이다.
‘큰소리 내지 않고 우아하게 아들 키우기’의 저자 임영주 박사는 책에서 “요즘 여자들은 ‘나를 먹여 살릴 남자’가 아니라 ‘나와 함께 발맞춰갈 남자’를 결혼 상대로 꼽는다. 미래의 내 아들이 여성들이 좋아하는 남편감이라면 잘 키운 것이고 잘 자란 것이다. 감정 표현이 뛰어나고 공감할 줄 아는 아들로 키워야 한다”고 조언한다.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을 쓴 일본 교육 컨설턴트 마쓰나가 노부후미도 “요즘 여자들은 ‘요리 잘하는 남자’를 이상형으로 꼽는다”며 “아들을 잘 키우는 것은 미래의 아버지상에 어울리는 남자로 기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들에게 ‘정서적 교감’을 기대하는 건 쉽지 않은 일. 두 아들의 엄마인 김모(36·회사원)씨는 “결국 ‘아들 양육서’ 열풍은 소통이 어려운 아들과 관계를 맺어보려는 엄마들의 몸부림인 것 같다”고 했다. ‘아들 양육서’를 보면 남자아이의 생리는 정서적 교감과는 거리가 멀다. 마이클 거리언은 “남자아이의 뇌에선 유대감 형성과 관련된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여자아이보다 더 적게 분비되고 대신 공격성과 관련된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여자아이보다 10~12배 더 많이 분비된다”고 했다. ‘아들은 왜?'(팜파스)를 쓴 오야노 메구미는 이렇게 말한다. “남자아이는 타인의 감정을 읽는 데 서툴고 상대방의 반응보다는 자신의 기분이나 욕구를 우선시한다. 때론 엄마의 분노나 슬픔조차 ‘재미’로 느낀다.”
왜 갑자기 엄마들이 아들 키우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알파걸 시대의 도래’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선 더 이상 근육의 힘이 경쟁력이 아니다. 공감 능력, 자기 조절 능력, 주의 집중력 같은 특성이 더 중요하다. 교육 전문가들은 남자아이들이 여자아이에 비해 이런 특성의 발달이 느리기 때문에 학교 안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특히 유치원과 초·중학교 때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키우는 이지은(42·주부)씨는 “학교에서 남자아이들은 산만하고 야무지지 못해 항상 야단만 맞는다. 아들 엄마들은 ‘우리 애가 왜 여자애에 비해 뒤떨어지나’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근무한 여교사 김모(34)씨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적이 뛰어나다기보다는 학습 태도가 좋다. 수업에 집중을 잘하고 돌발 행동을 안 하기 때문에 교사 입장에서 대하기가 수월하다”고 했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등 발달 장애 비율이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아들 키우기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킨다. 미국 아동심리학자 댄 킨들런은 저서 ‘알파걸’에서 “자폐증 진단을 받는 남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의 4배나 되고 ADHD나 난독증에 걸릴 위험도 여자아이들보다 2~5배나 높다”고 했다. 미국 아동발달심리전문가 마이클 거리언은 ‘소년의 심리학’에 “여자아이 100명이 학습 장애 진단을 받을 때 남자아이는 276명이 학습 장애 진단을 받는다”고 썼다.
엄마 말을 건성으로 듣고,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좀처럼 이야기하지 않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도 아들 엄마를 애타게 한다. 한 학부모는 “새 학년 초 아들 엄마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반에서 가장 똑똑한 여자아이 엄마와 친구가 되는 거다. 여자아이들은 시시콜콜 엄마에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여자아이 엄마를 통해야만 아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왜 아들은 엄마의 말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걸까? 전문가들은 “남성과 여성의 화법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아들에게 소리치는 엄마 딸에게 쩔쩔매는 아빠'(덴스토리)를 쓴 정윤경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는 “엄마 말을 안 듣는 게 아니라 무슨 말을 하는지 못 알아듣는 거다. 남자아이는 길어지는 말 속에서 전후 관계를 따져 핵심을 찾아 처리하는 능력이 여자아이보다 떨어진다. 아들과 대화할 때엔 한 번에 한 가지만, 핵심만 짚어서 짧게 이야기해줘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아들 엄마들의 고민이 깊어지다 보니 남자아이들의 취약점을 공략한 ‘맞춤형 사교육’도 등장했다. 대표적인 것이 남자아이들만을 위한 미술학원. 일산에 본점을 둔 ‘자라다 남아미술연구소’는 6~13세 남자아이만 수강생으로 받는다. 교사도 모두 남성인 이 학원은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톱질·못질 등을 주로 가르치고, 꽃이나 사람보다는 자동차를 그린다. 이 학원 최민준 대표는 “일반 미술학원에서 남자아이들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다. 아동 미술의 주요 지표인 색칠 하기와 사람 그리기가 모두 여자아이가 관심을 갖는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상적인 남편감으로 아들 키우고파”
아들을 대하는 엄마들의 태도 변화도 ‘아들 교육’이 이슈로 떠오른 요인 중 하나다. 요즘 엄마들은 전통적인 남성상이 아닌 자신의 ‘이상형’을 아들에게 투사해 적극적으로 교육시킨다. 자기 중심적이지 않고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남자로 키우고 싶어 하는 것이다.
‘큰소리 내지 않고 우아하게 아들 키우기’의 저자 임영주 박사는 책에서 “요즘 여자들은 ‘나를 먹여 살릴 남자’가 아니라 ‘나와 함께 발맞춰갈 남자’를 결혼 상대로 꼽는다. 미래의 내 아들이 여성들이 좋아하는 남편감이라면 잘 키운 것이고 잘 자란 것이다. 감정 표현이 뛰어나고 공감할 줄 아는 아들로 키워야 한다”고 조언한다.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을 쓴 일본 교육 컨설턴트 마쓰나가 노부후미도 “요즘 여자들은 ‘요리 잘하는 남자’를 이상형으로 꼽는다”며 “아들을 잘 키우는 것은 미래의 아버지상에 어울리는 남자로 기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들에게 ‘정서적 교감’을 기대하는 건 쉽지 않은 일. 두 아들의 엄마인 김모(36·회사원)씨는 “결국 ‘아들 양육서’ 열풍은 소통이 어려운 아들과 관계를 맺어보려는 엄마들의 몸부림인 것 같다”고 했다. ‘아들 양육서’를 보면 남자아이의 생리는 정서적 교감과는 거리가 멀다. 마이클 거리언은 “남자아이의 뇌에선 유대감 형성과 관련된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여자아이보다 더 적게 분비되고 대신 공격성과 관련된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여자아이보다 10~12배 더 많이 분비된다”고 했다. ‘아들은 왜?'(팜파스)를 쓴 오야노 메구미는 이렇게 말한다. “남자아이는 타인의 감정을 읽는 데 서툴고 상대방의 반응보다는 자신의 기분이나 욕구를 우선시한다. 때론 엄마의 분노나 슬픔조차 ‘재미’로 느낀다.”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675 total views, 1 views today
나도 최근에 < 소년의 심리학>을 사서 읽었다.
딸 둘에 막내로 아들을 키우면서 진작 이런 책들을 읽지 못한 게 후회했다.
딸들을 기를 때 못 느꼈던 어려움을 아들에게 느낄 때가 종종 있었다.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것이 정리되는 듯한 느낌이 든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아들에게 딸과는 다른 각도로 접근하고 있다.